▣ Nov. 14 (Friday) ▣
◈ 09:00 ~ 17:00 Field Trip(Special Program for Foreign Scholars)
- 9 am. First Meeting, Gonzaga Hall, Sogang University
- 11 am. Yeoju Center of Daesoonjinrihoe
◈ 18:00~19:00 Registration
- Sangrokwon Restaurant (상록원 3층 교직원식당), Dongguk University
- 등록비 3만원, 대학원생 1만원(대회가방, 저녁만찬, 주차증, 15일 전체일정 포함)
◈ 19:00~21:00 Plenary Session & Dinner
Sangrokwon Restaurant (상록원 3층 교직원식당)
【종교정책 간담회】
사회: 한국종교학회장 김재영 교수
〈주제강연〉
김상민 새누리당 국회의원
유승희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문화체육관광부 종무실장
논평: 한국종교사회학회장 송재룡 교수
▣ Nov. 15 (Saturday) ▣
◈ 09:00 Registration Munhwa Hall (문화관)
등록비 3만원, 대학원생 1만원 (가방, 자료집, 점심, 저녁, 주차증 지급)
◈ 10:00~12:00 Session I
I-1. Theory of Religion (사회: 유요한 교수) K203
성해영 (Seoul National Univ.), 안연희(Sunmoon Univ.) 종교다원주의와 디아스포라
방원일 (Seoul National Univ.), 초기 종교학의 원시유일신이론
안신 (Pai Chai Univ.), Erwin Ramsdell Goodenough(1893-1965)의 종교와 종교학 연구
I-2. Korean Religions (사회: 이진구 교수) K204
손승호 (Yonsei Univ.), 유신체제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운동의 흐름
최현주 (Academy of Korean Studies), 조선후기 천주교 신자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
박병훈 (Seoul National Univ.), 상주 동학교 제천사상 재고
I-3. Confucianism (사회: 정소이 교수) K205
임재규 (Seoul National Univ.), 다산 정약용 추이론의 연원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김보름 (Anyang Univ.), 일제 시기 공교운동에 대하여
채병관 (Catholic Univ.), 유교적 개신교회: 한국인 개신교회 안의 유교적 전통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I-4. Religion and Education (사회: 김현숙 교수) K208
황대연 (Yonsei Univ.), 20세기 미국과 한국의 성서무오성 논쟁과 한국개신교 종교교육의 과제
이윤석 (Yonsei Univ.), 생태적 종교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기독교
청소년 교육을 중심으로
나혜숙 (Sogang Univ.), 웃달라카 아루니와 교육적 맥락: 우파니샤드의 좋은 스승이자 제자
I-5. Sociology of Religion (사회: 김철수 교수) K209
이숙희 (Ajou Univ.), 정약용의 현실 개혁안과 영체인성론의 관련성
신학희 (Sophia University, Japan), 종교적 사건을 통해서 본 시민성
뚜안 (Sogang Univ.), The Geography of Religions, Religious Studies and Religious Ploicy in Vietnam
I-6. Religion, Arts, and Science (사회: 문영빈 교수) 덕암세미나실 (오후)
송현동 (Konyang Univ.), Well-Dying: 의료와 종교의 사이에서
박신영 (Yale Univ.), 십자가의 아름다움과 타자를 포용하기 위한 미학적 거리: 발타자르의 십가가
미학을 중심으로
박형철 (Seoul Women's Univ.), 드라마 속에 나타나는 역사와 실존 그리고 구원하는
아름다움: 쉴러와 브레히트의 작품을 중심으로
I-7. Christianity (사회: 신재식 교수) K305
김태섭 (Seoul Women’s Univ.), 마22:9에서 ‘αἱ διέξοδοι τῶν ὁδῶν’의 해석
김영원 (Graduate Theological Union), 폴리쾨르의 신정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이순열 (Catholic Univ., Bucheon), 성화를 통한 그리스도교 영성이해: 카라바조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혜경 (Catholic Univ., Daegu), 단테의 『신곡』을 통해서 본 아퀴나스 신학의 대중화와
한국 신학의 대중화 전망 모색
I-8. Psychology of Religion and Foreign Scholars I
(사회: 방연상 교수) K202
Daniel S. H. Ahn (Tyndale Theological Seminary), Changing Profil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ristianity in Singapore
Joshua Esler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Transcendence and the Mundane at the Edge of the Middle Kingdom: Protestantised and Pragmatic Tibetan Buddhism in Hong Kong
Peter Sam Cao Nguye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Vietnamese Im/Migrants in Korea: Serpents and Doves
I-9.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사회: 박광수 교수) K307
주제: 종교관련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에 대한 교육
강사: 주성지 선생님 (동북아역사재단)
◈ 12:00~13:00 Lunch (Sangrokwon Restaurant)
◈ 13:00~13:30 Openings & General Assembly
(사회: 이길용 교수) Munhwa Hall (문화관 덕암 세미나실)
◈ 13:30~15:30 Main Session
(사회: 이영호 교수 ) Munhwa Hall (문화관 덕암 세미나실)
† 종교, 시민성, 그리고 공공정책
Religion, Citizenship, and Public Policy 주제 강연: 김종서 (서울대 교육부총장)
† 공적 종교로서의 유대교와 그 현대적 변용
Judaism as a Public Religion and Its Modern Transformation
발표자: 이찌카와 히로시 (일본 동경대 종교학과 교수), 토론자: 이윤경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교수 )
† 종교, 개인적 윤리, 세속적 권력
Religion, Individual Ethics, and Secular Power
발표자: 황순일 (동국대 인도철학과 교수), 토론자: 송현주 (순천향대 교수)
◈ 15:30~16:00 Coffee Break
◈ 16:00~18:00 Session II
II-1. Antique Religions (사회: 배철현 교수) K203
김동호(Wonkwang Univ.), 도마복음의 종교문화 형성에 대한 사상사적 배경
유성환 (Seoul National Univ.), 이집트의 신정정치: 제 25왕조를 중심으로
윤성덕 (Seoul National Univ.), 고대 서아시아 지혜문학에 나타난 죽음과 사후세계
배철현 (Seoul National Univ.), 아이스퀼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 나타난
'프로메테우스' 신화소의 변용과 의도
II-2. Islam and Indian Religions (사회: 이윤경 교수) K204
김영경 (Korea Univ.),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바하이 탄압과 최근의 조짐
박현도 (Myongji Univ.), 서구 이슬람학계와 이즈티하드: 의미와 파장
계미량 (Wonkwang Univ.) 까쉬미르 샤이비즘(Kashmir Śaivism)의 땃뜨와(tattva)
II-3. Religion and Woman (사회: 우혜란 교수) K205
옥복연 (Seoul National Univ.), 한국 불교 조계종단의 성차별성
조승미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한국불교의 젠더화된 기복신앙론과 가족주의 구조
김민지 (Sunmoon Univ.), 통일교회 36가정 여성의 역할경험에 관한 연구
최우혁 (Sogang Univ.), 평화의 기반, 내재하는 신성에 관한 여성 신학적 성찰
II-4. Folk Religions (사회: 최종성 교수) K208
김동규 (Wonkwang Univ.), 토착종교연구와 종교학의 원시주의
최진아 (Academy of Korean Studies), 무속에서의 죽음과 관련된 상징물이
갖는 의미: 천도의례를 중심으로
장정태 (Institute of Korean Folk Religion), 한국불교와 민간신앙 습합현상
II-5. New Religious Movements (사회: 윤재근 교수) K209
박상기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예수그리스도 후기성도 연구: 성공협상전략을 중심으로
정지윤 (Daejin Univ.), 신종교와 음식: 대순진리회 사례를 중심으로
김귀만 (Daejin Univ.), 대순사상의 문명
II-6. Psychology of Religion and Foreign Scholars II (사회: 주재완 교수) K202
David W. Kim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 Religio-Political Discourse: The Decalogue in the Early Modern Large Catechism
Laurens de Rooij (Durham University, UK), Islamic Identity in the Secular Environment of Post-Colonial Indonesia
Richard E. Turley Jr. (LDS), Mormon Studies: Academic Trends and Useful Databases
Ivo Coelho (Direzione Generale Opere Don Bosco), RICHARD DE SMET ON SANKARACARYA: Retrieving Good Work with the Help of Bernard Lonergan’s Method
II-7.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사회: 심연수 교수) K303
주제: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in Liberal Religious Societies
발제자: Donald C. Bellomy(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영문편집위원장)
Competing Transcendences : World Religions and Global Citizenship
김태기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부소장)
동아시아 정치질서에 대한 사적(史的) 고찰과 글로벌리즘의 현실적 의미
나인섭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융복합편집위원장)
초연결사회의 세계시민성 함양
토론자: 김경래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II-8. 한국문학과 종교학회 (사회: 안신 교수) K305
송인화 (Hansei Univ.), 정연희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성 연구 <토론: 안신 >
김주언 (Dankook Univ.), 신과 인간에 대한 모독을 넘어: 프리모레비의 <이것이 인간인가>와
소수자 문학 <토론: 방인식>
김영희 (Chungnam National Univ.), Walt Whitman의 페미니즘 영성과 특징 <토론: 이유나>
최인순 (Seokyeong Univ.), "현명한 피": 죄와 구원, 그리고 펠릭스 쿨파 <토론: 박소진>
II-9. Buddhism (사회: 황순일 교수) K306
김명희 (Sogang Univ.),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에노미야 라쌀의 신비주의: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대화
유제동 (Sungkonghoe Univ.), 일본 비판불교 논쟁의 사회 참여적 함의에 대한 시론
이상호 (국토관리청), 간화선의 일상생활성에 관한 고찰
II-10. Graduate Students (사회: 박병훈) K307